공부 기록
5. 직업상담의 이론 및 접근 방법(직업상담학) 직업상담사 2급 이론 본문
Chapter03 직업상담의 이론 및 접근 방법
이론을 공부 할 때
- 학자와 이론
- 이론을 만들게 된 상담의 목적
- 목적과 관계된 상담의 기법
1/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적 상담
'무의식'이 나오면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적 이론
내 인생을 움직이는 안보이는 것을 끄집어 내는 작업을 강조했구나
인간의 성격은 5세에 결정됐다. 결정론적이다.
1.개요
- 프로이트(Freud)의 성격 이론을 근거로 한 것으로, 인간의 부적응 행동의 원인을 무의식 세계에 억압되어 있는 감정으로 보고 이 억압된 감정을 파헤쳐서 부적응 행동을 치료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 인간의 부적응 행동의 원인을 무의식적 동기와 욕구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내담자가 지닌 무의식의 세계를 의식화하여 문제를 치료하려는 상담방법이다.
2. 인간의 정신세계
- 의식 : 한 개인이 현재 각성하고 있는 모든 행위와 감정들을 포함한 것이다.
- 전의식 : 조금만 노력하면 쉽게 의식화 될 수 있는 사고, 즉 허용 가능한 기억을 말한다.
- 무의식 : 의식적 사고에 의해 억압되고 금지된 생각이나 감정, 자기 힘으로는 의식으로 떠올릴 수 없는 생각이나 감정을 말한다.
3. 성격의 구조(Stucture of Personality)
인간의 성격은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라는 3개의 통일된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이들은 심리과정을 설명하는 용어로서 3개의 분리된 개체가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즉 원초아는 생리적 구성요소이며, 자아는 정신적 구성요소이며, 초자아는 사회적 구성요소이다.
원초아 : 충동적 욕구, 일차원적 욕구
자아 : 조정역할, 의식세계를 통제하여 잠재의식에 억압을 행사한다.
다음 중 의식세계를 통제하여 조정역할을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자아
초자아: 도덕적 자아
4. 성격의 발달 단계
결벽증이 생길 때는 언제 입니까?
항문기(18개월-2세)
거세불안을 느끼는 시기는 언제 입니까?
남근기(3-5세)
도덕적 자아, 초자아가 발달되는 시기는 언제 입니까?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일렉토라 컴플렉스가 일어나는 시기는 언제입니까?
잠복기(6-11세)
생식기(11세 이후)
5.정신분석 상담의 특징
'결정론적 존재, 과거를 중시한다.무의식,억압,훈습'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 인간은 과거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로 보았다.
- 부적응 행동을 무의식적 원인으로 본다.
- 부적응 행동을 억압의 증거로 본다.
- 인간의 성격은 5세에 결정되어진다.
- 부적응 행동의 치료는 과거의 생활사적 기초에 입각한다.
- 치료는 무의식적인 것을 통제함으로써 가능하다.
- 자유연상, 꿈의 분석(해석), 감정전이의 분석, 최면술 등이 중요한 치료수단이 된다.
- 내담자의 과거의 인간관계가 현재의 치료과정에 전이하는 현상을 부적응 행동의 치료중에 중요한 요소이다.
- 내담자가 과거의 연상을 계속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현상도 치료에 포함시킨다.
6. 상담의 목적
훈습을 통해서 부적응 행동을 바꾸는 것
7. 상담기법
1) 자유연상법
자유롭게 떠오르는 것을 말해봐라
2)최면요법
레드썬
3)저항의 분석
저항을 통해서 알아보는 것
a 왜 저한테 화를 내시죠?
b 선생님은 우리 아빠하고 똑같아요
4)꿈의 분석(해석)
꿈을 통해서 무의식을 알아보는 것
5)전이의 분석
과거의 중요한 인물에게서 느꼇던 감정이나 생각을 상담자에게 투사하는 현상
전이와 역전이는 상담에서 불필요한 것이다.(X) 필요할 때도 있다.
*역전이의 해결책*
역전이의 해결방법 3가지를 쓰시오.(6점)
- 자기분석, 교육분석을 통해 자신의 감정의 근원을 따져본다.
- 슈퍼 바이저에게 지도감독을 통해 역전이를 알아차리고 도움을 받는다.
- 다른 전문가에게 위임한다.
상담사는 자신의 능력이 안되더라도 최선을 다해서 끝까지 상담을 해야한다.(X)
역전이 상태여도 끝까지 상담을 완료해야한다.(X)
6) 해석
내담자의 문제점을 전문가로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근본적인 의미를 지적하고 설명하여 가르쳐주는 것.
7) 훈습
오랫동안 갈등과 방어를 탐색하고 이를 해석해 나가는 과정. 반복적인 해석을 통해서 정상적인 행동으로 바꾸는 것
8) 버텨주기
9)간직하기